반면, 미-중 관세전쟁의 영향으로 화물 노선 수송량은 5% 감소했고, 화물 운임도 2% 하락해 화물 매출액은 7%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영업비용 측면에서는 연료비가 10% 감소했으나, 감가상각비, 인건비, 공항관련비 등이 증가해 전체 비용 비율은 2% 상승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분기 별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5% 감소한 3,533억원, 영업이익률은 8.7%로 예상된다.
연결 기준으로는 2분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0% 감소한 6조 3,970억원, 영업이익은 12% 감소한 4,070억원(영업이익률 6.4%)로 추정된다. LCC의 비수기 영향도 일부 반영된 결과다.
유가 급등과 환율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2024년 2분기 평균 WTI는 배럴당 80.8달러로 높은 기저를 형성했고, 환율은 전년 수준으로 안정화되고 있다. 이에 연간 연료비는 사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관세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화물 물동량과 운임 변화는 제한적이라 항공화물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고 평가된다.
아시아나항공은 하반기에 미주 노선 운임 제약이 해소되면서 국제여객운임이 상승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항공은 신기재 도입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와 정비비, 인건비, 공항관련비 등 비용 상승을 운임 상승으로 보전하는 방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하나증권은 2025년 대한항공 별도 영업이익을 1조 6,880억원, 연결 영업이익을 1조 9,240억원으로 추정하며,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은 7배, 주가순자산비율(P/B)은 0.6배로 절대적으로 낮은 주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국내 유일 FSC로서 경쟁 완화가 기대되는 대한항공에 대해 하반기 저점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하며, 목표주가 30,000원과 투자의견 ‘BUY’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