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데이터투자 로고 검색
검색버튼

10월 임박한 ‘철강 대개편’…전기요금 완화 카드로 숨통 트일까

- 산업부, 강제 감산설 일축…고부가·저탄소 전환 지원 중심, 일부 지역 전기요금 인하 검토
10월 임박한 ‘철강 대개편’…전기요금 완화 카드로 숨통 트일까이미지 확대보기
하나증권이 22일 발표한 철강·금속 Weekly 리포트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제기된 철강업계 ‘10~20% 강제 감산’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부인했다. 산업부는 대신 철강 산업 지원 대책을 오는 10월 중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부인한 ‘강제 감산’은 업계의 부담을 키울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이다. 일각에서는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비 감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산업부는 일괄적인 생산 축소보다는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입장이다.

발표될 대책은 ▲고부가가치 제품 전환을 위한 설비투자 ▲연구개발(R&D) 지원 ▲불공정 수입재 대응 ▲저탄소 전환 지원 등이 핵심으로 꼽힌다. 이는 단순히 생산량을 줄이기보다는,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친환경 시장에 대응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ad

다만 정부는 모든 품목에서 동일한 지원책을 적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급과잉이 심각하거나 수입규제만으로 개선이 어려운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설비 감축 개입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특히 업계의 관심은 비용 부담 완화에 쏠려 있다. 조승래 산업부 장관은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며, 전면적인 인하는 어렵지만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한정 지원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전기요금 문제는 철강업계의 오랜 숙제다. 원자재 가격과 환율 변동 속에 비용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력요금 인하는 기업들의 수익성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어떤 범위에서, 어느 정도 폭으로 인하를 단행할지가 업계의 최대 관심사다.

시장에서는 이번 정부 대책이 단순한 지원책을 넘어 구조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업계는 특히 저탄소 전환과 고부가 제품 투자 지원이 현실화된다면 글로벌 경쟁 속에서 한국 철강업계의 입지가 강화될 수 있다는 기대를 내비친다.

결국 10월 발표될 철강산업 대책은 업계의 경쟁력, 비용 부담, 그리고 글로벌 수급 환경에 직결되는 중대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정부가 어떤 구체적 해법을 내놓을지, 그리고 실제 효과가 얼마나 체감될지 주목된다.

주지숙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