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MTN 단독보도에 따르면 대원제약이 라파스 진행하던 비만 치료 패치제 공동 개발을 포기하고 특허를 양도한다고 밝혔다.
라파스는 "지난 3월 국내에서 임상 1상까지 마친 'DW-1022' 개발을 대원제약이 아닌 중국 기업과 이어간다"며 "대원제약은 'DW-1022' 특허와 관련한 권리 지분을 지난 2일 라파스에 100% 양도했다"고 밝혔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DW-1022는 더 이상 대원제약이 진행하지 않는다"며 "(라파스와) 공동 개발로 임상 1상을 완료한 뒤 다음 단계에 대한 진행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을 이어가기보다 다른 파이프라인에 집중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라파스는 자체 보유한 DEN(Droplet Extension) 공법을 기반으로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만드는 업체다. DEN 공법이란 패치 위에 유효 성분으로 구성된 액체 방울을 떨어트리고, 반대쪽에 다른 패치를 접촉한 후 늘이는 공법이다.
라파스 관계자는 "과거 (공동 개발에서) 대원제약 약물을 사용했는데 앞으로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원료 승인을 받은 중국 업체와 (DW-1022)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현재 중국 업체에서 원료를 받아서 임상 2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DW-1022는 위고비와 동일한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를 기반으로 하되, 주사제 고통이나 복약 부담을 줄인 피부 부착형 제형이다. 임상 1상 결과에 따르면, 피하주사 대비 30%의 상대 생체이용률(체내 흡수율)을 기록했다. 기존 경구제(입으로 복용) 대비 약 60배 수준이다. 시험에 사용된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피부 자극이 없거나 경미했고, 냉장 보관이 필요 없어 상온 유통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김규환 데이터투자 기자 pr@datatooza.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 저작권자 ⓒ 데이터투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